|
'220만 외국인 시대' 저숙련·건설업 일자리 '타격'...외국인 유입 막아야 할까?
중졸 이하 50% "외국인이 일자리 위협한다"… 실제로 일자리 감소
장기적으로 지역경제에 긍정적… "외국인 유학생 정책 지원해야"
편의점에서는 태국에서 온 젊은이 타완이 멤버십 카드를 사용할 건지 물어보고, 바로 옆 신축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는 네팔에서 온 라즈가 구슬땀을 흘린다. 외국인 220만명의 시대. 이제 더 이상 한국에서 일하는 외국인을 보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한국 사회는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2019년 행정안전부 통계에 따르면 주민등록인구의 약 4.3%에 해당하는 220만명이 외국인이다. 취업자를 기준으로 보면 6.6%를 차지한다. 외국인 중 32.5%(72만명)는 경기도에, 21%(46만6000명)는 서울에 거주하고 있다.
외국인 인구는 앞으로 더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정부가 인구 문제의 대안 중 하나로 외국인 인력 수급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외국인 노동자의 대부분은 저숙련 노동에 머물고 있다. 앞으로는 한국의 생산연령인구 감소를 대체하기 위해 외국에서 고급 인력을 수급해야 할 수도 있다.
외국인이 일자리 위협?··· 중졸 이하 '그렇다'
한국은 유례없는 초저출산 국가다. 지난해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가 많아지는 '인구 데드크로스'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사상 처음으로 3만3000명의 인구 자연감소가 발생했다. 가임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측되는 출생아 수를 의미하는 합계출산율은 0.84명으로 곤두박질쳤다. OECD 국가 중 합계출산율이 1 미만인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올해는 더 낮은 수준이 될 가능성이 크다.
저출산은 고령화로 이어진다. 한국은 결국 생산연령인구는 급감하는데 고령층은 증가해 노년부양비가 급격히 증가할 미래가 예견된 나라다. 여기에 더해 저출산과 고령화라는 2대 인구 난제는 지방 소멸, 생산연령인구 급감이라는 또 다른 중대한 문제를 낳았다.
내국인이 빠져나간 지방 중소도시는 외국인이 없으면 지탱할 수 없는 날이 올 수도 있다. 이미 중소 제조업체나 건설현장에서는 내국인 인력을 구하지 못해 외국인 인력에 기대는 상황이다.
외국인
좋든 싫든, 외국인 유입은 피할 수 없는 수순이다. 외국인 인력 활용 문제는 정부가 2019년 추진한 인구정책 태스크포스(TF)의 과제로도 명시돼 있다.
하지만 외국인 노동자 유입에 대한 의견은 여전히 분분하다.
여성가족부가 2018년 실시한 '국민다문화수용성조사'에 따르면 '외국인 노동자가 내국인 일자리에 위협적 요인'이거나 '경제적 손실을 준다'고 응답한 비율은 각각 33%, 34%였다. 그렇지 않다고 답한 비율도 31%, 26%를 보였다.
인구의 절반이 수도권에 몰려 사는 한국에서 외국인 유입과 그로 인한 일자리 문제는 피부에 와 닿지 않는 문제다.
그런데 이 질문에 대한 응답은 학력에 따라 달라진다. 국민다문화수용성조사에서 중졸 이하 학력의 경우 외국인 노동자로 인해 일자리 위협을 느꼈다고 답한 비율이 56.7%(대체로 그렇다 48.7%, 매우 그렇다 8%)에 달했다. 경제적 손실을 봤다는 응답도 46.3%를 기록했다.
반면 같은 질문에 대해 대졸 이상은 일자리 위협을 느꼈다고 답한 비율이 25.8%,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는 대답은 25.3%에 그쳤다.
|
|